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문화관광체육문화관광체육

사이트맵

역사·문화

연등나례무

연등나례무는 ‘교방살(煞)풀이춤’이라고도 하는데 이는 옛날부터 전해온 나례의식때 추던 춤이다. 나례의식이란 음력 섣달 그믐날 궁중과 민가에서 마귀와 사신을 쫓아내기 위한 의식을 말한다. 고려 정종 이후 송나라에서 들어온 이 의식은 우리 민족의 원시신앙 무속과 쉽게 융화되어 조선말까지 성행하였고, 지금도 그 유풍이 남아 있는데 나례춤이야말로 우리 민족 전통춤 중에서도 가장 오래되고 또 끊임없이 전하여진 대표적인 춤이라 하겠다.

‘교방살풀이’의 교방이란 고려초부터 있어 온 여락을 관장하던 관청이었던 점으로 미루어 이 춤이 나례의식 때 추던 춤임을 말해 주는 것이며, 옛날에는 붉은 옷을 입고 추던 것을 조선말 교방사에서 춤의 예술적 가치를 높이기 위해 흰옷을 입고 붉은 띠를 상징적으로 두르고 추게끔 바뀌어지고 춤사위도 예술적인 면을 많이 가미한 것이라고 전해져 오고 있다. 나례무를 출 때 붉은 띠를 왼쪽어깨에 매는 것은 황금사목[즉, 네눈박이 黃狗]이 귀신을 몰아내는 힘을 가졌다고 믿었던 데에 그 의의가 있을 것이다. 나례의 의식장소는 사정전, 명정전 등에서 행해졌다.

그 리고 한편 연등나례무(살풀이춤)가 성행해 온 것은 우리 조상들이 무당을 통해서 귀신을 섬기고 제사를 지냈기 때문이다. 살풀이란 액(厄)과 살(煞)을 다루는 춤으로 신의 존재를 인정하고 신의 뜻과 지시에 의하여 길흉을 점치고 인간이 뜻밖에 당하는 재회를 면하려고 신비로운 초능력을 받은 무당이 신과 인간의 중개구실을 하는데서 이 춤이 파생하여 조선시대에 와서는 민간신앙으로서 기우제ㆍ사은제ㆍ서낭제ㆍ액제ㆍ질병치료 등에 등장한 춤으로 전승되어 왔다.

양산에서의 전승은 1940년을 전후해서 양산권번의 사범인 김농주로부터 양산의 한량인 김덕명(1924년~2015년)이 사사받아 후학들에게 전수해 현재에 이르고 있다.
공공누리 제4유형: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 및 변경 금지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페이지 만족도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위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