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넘어가기 메뉴

Active Yangsan 양산타워

홍보관

양산시 역사

  • 본문인쇄

양산시 역사

양산시연혁
양산의 연혁 사진1
양산의 연혁 사진2
양산의 연혁 사진3
양산의 연혁 사진4
신라시대
  • 418년 : 눌지왕 2년 삽량주라 부름
  • 665년 : 문무왕 5년 량주를 상주와 하주를 분할하여 삽량주로 개칭
  • 757년 : 경덕왕 16년 양주(良州)로 개칭
고려시대
  • 940년 : 태조 23년 량주(良州)를 양주(梁州)로 개칭.
조선시대
  • 1414년 : 태종 13년에 양산군(梁山郡)으로 명명.
  • 1896년 : 고종 건양원년 경상도를 경상남북도로 분리, 경상남도에 배속
  • 1897년 : 광무 원년 전국을 13도로 하고 양산군을 8면으로 함 (읍내, 동, 물금, 원동, 상북, 하북, 구포, 대저)
  • 1906년 : 광무10년 구포면 과 대저면을 동래군과 김해군에 이속, 울산군 외남면(서생면)과 웅상면을 병합하여 편입
  • 1910년 : 외남면을 울산군으로 환속.
건국이후
  • 1973. 07. 01 : 동래군을 흡수 합병(법률 제2597호)
  • 1974. 10. 26 : 원동면 이천출장소 설치(양산군 조례 제291호)
  • 1979. 05. 01 : 양산면이 양산읍으로 승격(법률 제9409호)
  • 1980. 12. 01 : 기장면이 기장읍으로 승격(대통령령 제10050호)
  • 1983. 02. 15 : 서생면을 울주군으로 이속(대통령령 제11027호)
  • 1983. 02. 15 : 물금면의 5개리(교동·유산·대동·화룡·용선)를 양산읍에 편입(대통령령 제11027호)
  • 1985. 10. 01 : 장안면이 장안읍으로 승격(대통령령 제11772호)
  • 1986. 11. 01 : 동부출장소 설치(양산군 조례 제980호) (5개읍ㆍ면 관할 : 기장읍, 장안읍, 일광면, 정관면, 철마면)
  • 1986. 12. 23 : 양산읍 남부동 일부, 동면 석산리, 금산리 일부를 물금면으로 편입.(대통령령 제12007호)
  • 1988. 05. 11 : 양산읍 남부동, 중부동, 북부동을 남부리, 중부리, 북부리로 명칭 변경.(양산군 조례 제1063호)
  • 1988. 12. 31 : 양산읍 북부리 일부(2,272㎡)를 중부리에 편입 (양산군 조례 제 1099호)
  • 1991. 11. 20 : 웅상면이 웅상읍으로 승격(양산군 조례 제1288호)
  • 1995. 03. 01 : 동부 5개 읍·면이 부산광역시로 편입(법률 제4802호)
  • 1996. 03. 01 : 양산군이 양산시로 승격(법률 제4994호) 양산읍이 중앙동, 삼성동, 강서동으로 분동 (법률 제4994호) 물금면이 물금읍으로 승격(법률 제 4994호)
  • 1998. 04. 01 : 웅상읍 덕계출장소 설치(양산시 조례 제108호)
  • 2004. 01. 03 : 웅상민원출장소 설치(양산시 조례 제 340호)
  • 2007. 04. 01 : 웅상출장소 설치 및 웅상읍이 서창동, 소주동, 평산동, 덕계동으로 분동(양산시 조례 제571호)
  • 2010. 02. 01 : 중앙동이 중앙동, 양주동으로 분동
양산의 유물
가산리 출토 요도구
가산리 출토 요도구 사진

[정의]

  • 경상남도 양산시 하북면 지산리 통도사 성보박물관에 있는 조선 전기 요도구(窯道具).

[형태]

  • 15세기에 제작된 요도구로 도침, 갑발, 태토비짐이다. 대접·접시·종지·병·항아리 등의 생활 용기와 제기로 쓰였던 보·향로 등의 특수 용기를 만들기 위하여 제작되었다. 도침은 원통형을 이루며 바닥은 한쪽이 사선으로 되어 있다. 갑발들은 내화토로 만들어졌다.
내원사 금고
내원사 금고 사진

[정의]

  • 경상남도 양산시 하북면 용연리 내원사에 있는 고려 전기 금고.

[형태]

  • 크기는 지름 39.5㎝, 두께 11㎝이다. 내원사 금고는 한쪽 면만 두드려서 소리를 내는 것으로, 중앙부에는 원좌(圓座)를 중심으로 사이 꽃잎[間葉]이 표현된 6잎의 보상화문(寶相華紋)을 가는 선으로 도드라지게 새겼다. 그 둘레에 굵은 두 가닥의 띠를 둘러 외구(外區)와 구분하였다. 중앙의 원좌에는 가는 선을 촘촘히 둘러 동심원 모양의 무늬를 놓았다.
북정동 금조총 출토 금제 굵은고리귀걸이
북정동 금조총 출토 금제 굵은고리귀걸이 사진

[정의]

  • 삼국시대 경상남도 양산 지역에서 제작된 순금 귀걸이.

[형태]

  • 은제 허리띠 아래에서 출토된 것은 총 길이 9.4㎝로, 고리는 가운데가 뚫린 통 모양을 둥글게 구부린 형태이다. 양끝이 맞붙는 곳에 틈이 있고 표면에는 거북등 무늬를 장식하였다. 고리의 지름은 3.1㎝이다. 중간 장식은 가는 고리로 표면에 거북등 무늬가 장식되었다. 지름 3.1㎝, 단면 지름 0.4㎝이다. 드리개 [垂下飾]는 중간 장식에다 작은 고리에 보요(步搖)가 상하 2단으로 매달려 있다. 중간의 보요는 심엽형(心葉形) 이고 말미의 것은 장심엽형(長心葉形)이다.
안적암 동종
안적암 동종< 금고 사진

[정의]

  • 경상남도 양산시 하북면 지산리 통도사 성보박물관에 있는 조선 후기 범종.

[형태]

  • 안적암 동종은 높이가 53.5㎝로 비교적 작은 편이지만 명문에 중종(中鍾)이라고 밝히고 있다. 한 마리의 용과 음통(音筒)으로 구성된 용뉴(龍鈕)는 용두를 크게 부각시켰고 간략하게 형식화된 용의 몸체가 음통을 휘감은 형태로 표현되었다.
통도사 청동은입사봉황문향완
청동은입사봉황문향완 사진

[정의]

  • 경상남도 양산시 하북면 지산리 통도사에 있는 조선 중기 청동은입사향완.

[형태]

  • 통도사 청동은입사봉황문향완은 넓은 전이 달린 구연부, 밥그룻 모양의 몸체와 나팔 모양의 받침대로 이루어진 전형적인 향완의 형태를 띠고 있다. 구연부 전의 윗면에 연당초문이 은입사되었으며, 전의 아랫면에는 ‘강희십삼년갑인삼월일통도사은사향완중사십오근(康熙十三年甲寅三月日通度寺銀絲香垸 重四十伍斤)’이란 명문이 선각되어 있다.
그 외
  • 북정동 부부총 출토 삼루환두대도, 고문서, 양산 통도사 극락암 청동반자, 통도사 동종, 청동시루, 청동사리탑, 통도사 국장생석표, 통도사 석당간, 통도사 은입사동제향로 등
양산지도의 역사
회화식 군현지도
8첩에 수록된 회화식 지도

8첩에 수록된 회화식 지도

최치원 놀던 곳 표현된 지도

최치원 놀던 곳 표현된 지도

각 지방 지리서

각 지방 지리서

1리 방안식 군현지도
통일된 범례를 사용

통일된 범례를 사용

통도사 국장생석표

통도사 국장생석표

공공누리4유형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